건강, 의료

암.... 1기 2기 3기 4기

tnt2122 2018. 11. 12. 20:32


암의 진단 시에 암세포가 퍼진 정도에 따라 암의 진행단계는 결정됩니다.


암의 진행단계에 따라 치료방법이 결정되므로, 암의 진행단계를 알기 위해 검사를 받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암은 원발장기에서 생겨서 혈관과 림프절을 따라 퍼지는데 원발장기 주위의 림프절을 조직검사하여 주위로 퍼졌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습니다.


암의 진행단계를 표시하는 방법은 암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TNM법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T(Tumor 종양)는 원발기관에서 원발종양의 크기와 침윤정도를, N(Node, 림프절)은 원발종양에서 주위 림프절로 얼마나 퍼졌는지를, M(Metastasis, 전이)은 몸의 다른 장기로 암이 퍼졌는지 여부를 의미합니다.


암의 종류에 따라 독립적인 분류법에 의해 진행단계를 결정하는 법을 따로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러 검사의 결과로 TNM법에 의한 암의 상태가 결정이 되면 1기, 2기, 3기, 4기로 진행단계를 간단히 요약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치료 결과의 개념을 포함하여 조기암, 진행암, 말기암이란 분류도 사용합니다.


조기암은 1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원발장기에만 암조직이 존재하며,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로 퍼지지 않은 상태로 수술 등의 치료 후 완치 등 좋은 예후를 보입니다. 진행암은 2기, 3기, 4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암의 여러 치료법을 병합하여 암의 진행을 억제, 정지시킬 수 있는 단계를 말합니다. 그러나 말기암은 여러 치료에도 불구하고 암이 계속 진행하고 악화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암에서 병기를 구분하는 이유는 병원마다 동일한 병기를 적용하여 향후에 암에대한 자료를 교환하거나 연구할 때 신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해요. 모든 암의 임상적 병기는 암덩어리의 크기나 주위 조직의 침투 정도, 주위 림프절로의 침투 및 전이 여부라는 세 가지 기준에 따라 국제적으로 그 결정양식이 통일되어 있다고 합니다.


1기 - 원발장기에 국한, 림프절 침투는 없음. 근치수술 가능. 생존확률 : 70∼90%


2기 - 주위 조직이나 림프절에 국소전파. 근치수술 가능하나 완전 절제는 불확실. 생존확률 : 50%


3기 - 더 깊은 조직이나 림프절까지 확대 전파가 되고 주로 고식적 수술. 생존확률 : 20%


4기 - 다른 장기로의 전이 상태. 원칙적으로 수술 불가능.  생존확률 : 5%이하


 5기 - 5기라고 안 하고 보통 말기라고 함.


================

림프절  Lymphatic gland / 淋巴節


임파선이라고도 불리며, 전신에 퍼져있는 림프관의 중간에 위치하는 결절 모양의 주머니이며, 면역 작용을 하는 림프구를 만들어 림프관에 침입한 세균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신체를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림프절은 림프관을 따라서 온몸에 분포하며 림프관과 림프 통로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림프절이 특히 많이 모여있는 곳은 목, 겨드랑이 등인데, 림프절에서는 면역 반응이 일어난다. 림프관을 따라서 많은 림프절이 분포되어 있다.


림프절은 체액을 거르는 체와 같은 역할을 한다. 다른 조직으로부터 림프관을 타고 온 입자들은 수입림프관을 통해 림프절로 들어온다. 림프절 내의 포식세포들은 이러한 입자들을 포식하며 이는 면역 반응을 시작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림프절에는 체내에 침투한 항원들이 흘러들어오게 되며, 이들에 대해 림프절 내의 림프구가 면역기능을 가지고 활동하게 한다.


림프관 (lymphatic vessel)


인체에는 혈관 외에 림프관이라는 가늘고 투명한 관이 둘러쳐져 있다. 림프관 안에는 림프액이라는 투명한 액체가 흐른다. 림프관을 흐르는 림프액은 모세혈관에서 배어 나온 조직간액(간질액)을 회수한 것이다. 혈장과 거의 같은 성분으로 수분 외 단백질이나 포도당, 지방 등을 함유한다. 림프액은 정맥처럼 주위의 근육이 수축 · 이완을 반복하면서 흐른다.


림프액은 죽은 세포나 혈구 등의 노폐물이나 소화관에서 흡수된 지방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중 노폐물은 림프샘에서 제거되고 지질은 문맥에서 간으로 운반되어 처리한다. 림프에 함유된 세포 성분은 백혈구의 일종인 림프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몸을 지키는 면역 기능을 담당한다.


주로 피부나 점막 하층의 성긴 결합조직에서 액체와 물질을 혈관계로 수송하는 한쪽 방향이 막힌 투명한 관이다. 림프관은 모세혈관보다 투과성이 더 높아 항원과 세포를 포함한 거대분자를 모세혈관보다 더 쉽게 흡수한다. 림프관은 중간중간 림프절과 연결되어 있으며, 림프관의 액체는 가슴 림프관(thoracic duct)을 거쳐 결국 혈관계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동맥과 정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혈관과는 달리 림프관은 한쪽 방향이 막혀있어 조직에서 혈관쪽 한 방향으로만 흐른다.